S T U D Y/Network
-
5_ 맥 어드레스(MAC Address)S T U D Y/Network 2021. 2. 1. 19:51
* MAC(Media Access Control)이란? - Media Access Control의 준말임. 통신을 위해서 PC가 서로를 구분할 주소가 필요함. 그 역할을 하는게 바로 MAC주소임. TCP/IP 통신을 할 때에도 MAC Address를 사용함. 네트워크에 붙는 장비들은 48bit(6octet이 됨. 옥텟은 8개의 비트를 묶은 것)의 주소를 갖게 되는데 이 주소는 랜카드나 네트워크 장비에 이미 고정되어있는 상태이며 유일한 주소임. 이 주소가 바로 mac address임. 8자리마다 하이픈(-)이나 콜론(:), 점(.)으로 구분 됨. 이진수 48자리로 되어 있음. 근데 그것을 표현하기가 너무 길기 때문에 16진수로 표시하게 됨. mac address의 앞쪽 6개의 16진수 - 벤더를 나타냄(생..
-
4_ 케이블의 종류/케이블 의미S T U D Y/Network 2021. 2. 1. 19:30
* 케이블 종류에 숨겨진 법칙 ex) 9 Base T 9 → 속도를 나타냄. 즉, 9M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케이블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Base → Baseband 용 케이블이라는 것을 의미함. 케이블 종류에는 베이스밴드(Baseband)와 브로드밴드(BroadBand)가 있음. ※ Baseband : 디지털방식, Broadband : 아날로그 방식 T → 케이블의 종류 또는 케이블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거리가 나옴. T는 TP(Twisted Pair) 케이블이라는 것을 나타냄.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UTP 케이블의 경우와 같음. 만약 이 자리에 알파벳이 아니라 숫자가 나오게 되면 최대 통신 거리를 나타냄. 고로 9 Base 5 이런 케이블은 최대 500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는 의미임. * 자주..
-
3_ 토큰링, UTP 케이블 이란?S T U D Y/Network 2021. 1. 31. 14:01
* 토큰링(TokenRing) 방식이란? 한 네트워크에 토큰은 1개인데 네트워크에서 토큰을 가진 유일한 PC만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실어서 전송할 수 있음. 데이터를 전부 전송하고 나면 바로 옆 PC에게 전달함. 이를 반복하며 통신이 이뤄짐. 그래서 충돌(Collision)이 발생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성능을 예측하기도 쉽다는 장점이 있음. 내가 보내야 할 데이터가 있고, 다른 PC들은 보낼 데이터가 하나도 없다해도 차례대로 토큰이 주어지기 때문에 기다려야 함. 1990년대 초반에는 이더넷보다 안정된 기술로 각광받아 한때 인기가 있었지만 이더넷의 발전으로 토큰링은 추억으로만 남게 됨. 이더넷의 일반적인 속도는 100/1000Mbps, 토큰링의 일반적인 속도는 4Mbps/16Mbps 임. 네트워크 구성시 가장..
-
2_ LAN, 이더넷 이란?S T U D Y/Network 2021. 1. 31. 13:23
* LAN(Local Area Network)란? - 한정된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ex) 사무실 하나에 PC가 30대 있음. 이 PC들을 네트워크로 구성하면 "사무실에 LAN을 구축한다"가 맞음. 고로 PC방에서도 PC방에 LAN을 구축한다하는게 맞음. 혹은 LAN을 깐다. ① WAN은 뭘까? - Wide Area Network의 약자 - 멀리 떨어진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사용함. 요즘은 인터넷을 안 쓰는 사람이 없으니 인터넷 접속은 WAN임. 그래서 LAN과 WAN이 공존함. 예전에는 LAN을 깐다 혹은 WAN을 깐다고 얘기 했는데 이제는 "네트워킹을 한다" 라고 표현됨. n줄 요약 1. LAN은 한정된 지역에서 네트워크 구축 2. WAN은 멀리 떨어진 곳과 네트워크 구축 * 이더넷(Et..
-
1_ 네트워킹(Networking)/인터넷(Internet)/인트라넷(Intranet) 이란?S T U D Y/Network 2021. 1. 31. 11:34
* 네트워킹 이란? - 서로 연결하는 것. 그냥 연결만 하는 것이 아닌 상호 연결된 장비들끼리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함. 정보의 공유, 자원의 공유를 위해서 필요한 것임. 예를 들어, IBM장비 등 고가의 장비들을 구매하고 난 뒤 혼자쓰기가 아까우니까 '터미널' 로 불리는 우리가 쓰는 단말기와 비슷한 장비들을 호스트 컴퓨터에 붙여서 사용했음. 이 곳에서 시작한 아이디어가 서버만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프린터도 공유해보자는 생각으로 연장됨. 그런 뒤에는 하나의 호스트만 공유하지 말고 여러 대의 호스트를 공유해보자는 아이디어가 생겨나며 결국 현재의 네트워킹으로 발전한 것! 따라서 '서로 연결해서 대화할 수 있게 하는 것', '장비들을 상호 대화가능 하도록 묶어주는 것' * 인터넷 이란? 단어 풀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