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_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S T U D Y/Network 2021. 3. 16. 19:24728x90반응형
STP(Spanning tree protocol) 란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하는 루핑(뺑뺑이)를 막아주기 위한 프로토콜임. 즉 스위치나 브리지 구성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경로가 2개 이상 존재하면 1개 이상 경로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다 끊었다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생길 경우 끊어뒀던 경로를 하나씩 살림.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ID와 Path Cost가 필요함.
첫 번째, 브리지 ID는 브리지나 스위치가 통신할 때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서 하나씩 가지고 있는 번호임. 브리지ID는 16비트의 브리지 우선순위와 48비트의 맥 어드레스로 만들어짐. 맨 앞에 Bridge priority가 오고 그 뒤에 MAC Address가 옴. 앞쪽의 브리지 우선순위(Bridge priority)는 16비트로 만들어져서 올 수 있는 수는 2의 16승-1개가 됨. 그래서 Bridge priority에 올 수 있는 수는 0~65535까지임. 그런데 Bridge priority는 디폴트로 그 중간에 해당하는 값인 32768을 사용함. 그래서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은 스위치나 브리지의 프리올리티는 32768임. 그 뒤의 맥 어드레스는 스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값임. 그래서 자신의 고유 맥 어드레스가 Bridge priority 뒤에 붙게 됨. 두 번째, Path Cost는 길을 가는데 드는 비용 정도로 이해하면 됨. 네트워크에서의 길은 장비와 장비가 연결되어 있는 링크를 말함. 고로 path cost는 브리지가 얼마나 가까이, 빠른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값임.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알기 위해 크게 3가지 정도를 기억해야 함. 1번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를 가짐. 2번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가짐. 3번 세그먼트(Segment)당 하나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를 가짐. 여기서 루트브리지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실행할 때 기준이 되는 브리지(스위치)임. 또, 루트 브리지가 아닌 브리지를 Non root bridge라고 함. 이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를 가져야 함. 루트 포트는 루트 브리지에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임. 루트 브리지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포트임. 그걸 제외한 나머지 모든 브리지는 다 non root bridge임. 마지막으로, 세그먼트당 하나씩의 Designated port를 가짐. 여기서 세그먼트는 쉽게 생각하면 브리지나 스위치 사이에 서로 연결된 링크라고 생각하면 됨. 고로 브리지나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을 때 이 세그먼트에서 반드시 한 포트는 Designated port로 선출돼야 함.
728x90반응형'S T U D 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변경 예시, 망분리 (0) 2022.12.20 서브넷 마스크의 기본 -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의 기본 성질 (0) 2022.12.20 26_ 서브넷 마스크 연산/서브넷 마스크 특징 (0) 2021.03.15 25_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0) 2021.03.14 24_ IP주소 B클래스/C클래스/D클래스/E클래스 (0) 2021.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