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_ 브리지란? /브리지의 역할S T U D Y/Network 2021. 2. 7. 12:19728x90반응형
* 브리지(Bridge)란?
크게 다섯가지 일 함.
1) 출발지가 어디인지, mac address를 배움
2) 알 수 없으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게 뿌림
3) 해당 포트로 건네어줌
4) 다른 포트로 못 넘어가게 막음
5) 나이를 먹음
브리지는 말 그대로 다리. 허브는 모든 PC가 하나에 연결되어 있어서 허브로 연결된 PC들의 통신에는 문제가 생길 수 있음. 허브에 연결 된 PC 중 두 대의 PC만 통신을 하면 콜리전 도메인이 같기 때문에 그 순간은 다른 PC와 통신이 불가능함. 이것이 바로 CSMA/CD 문제임. 규모가 작은 네트워크에서는 딱히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규모가 조금 커지면 문제가 발생하게 됨.
*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주기 위해 뭘 사용해야 할까?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거나, 통신량이 증가할 때 콜리전 도메인이 발생하게 됨. 이 때 허브로는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스위치나 브리지를 사용해야 함. 라우터도 사용할 수 있지만 조금 과함.
* 브리지는 콜리전 도메인을 어떻게 나눠줄까?
- 브리지는 허브로 만든 콜리전 도메인 사이를 반으로 나누고 중간에 다리를 놓음. 그럼 다리 남단은 남단끼리, 북단은 북단끼리 동시에 소통이 가능해짐. 다리 남단에서 두 PC 사이에 통신이 이뤄지는 사이에 북단에 있는 PC들끼리도 소통이 가능하게 됨. 그리고 다리 남단에 위치한 PC와 북단에 있는 PC가 통신하려고 할 때만 다리건너 통신이 이루어짐.
그림으로 표현하면 위와 같음. !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그려서 첨부함. 브리지의 좌우에 위치하는 LAN은 종류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쪽 LAN이 이더넷을 사용하면 프레임 헤더를 해석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쉽게 중개할 수 있음. 하지만 종류가 다르면 프레임 변환 등의 복잡한 과정이 필요함. 브리지는 더 많은 LAN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음. 따라서 브리지는 연결된 LAN의 종류만큼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함!
각설하고 이미지를 다시 보면 간단하게 mac address는 A,B,C,D로 표기했음. A라는 mac address 가진 PC는 B라는 맥 어드레스를 가진 PC에게 통신을 하면서도 C라는 맥 어드레스를 가진 PC와 D 라는 맥 어드레스를 가진 PC는 통신이 가능함.
고로 브리지는 A, B 가 통신할 때 다리를 건너지 않고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음. 그래서 이 프레임은 다리를 통과시키지 않음. 원래 허브였으면 모든 PC에게 보냈을 것임.
즉, 두 PC가 남단에서 통신을 하는 중에도 북단에서 서로 다른 PC인 B, D는 통신을 할 수 있음. 이런 기능을 요즘은 스위치가 대신 해줘서 브리지를 많이 사용하진 않음.
브리지는 허브보다 한 등급 위의 장비인데, 허브는 나눌 수 없는 콜리전 도메인을 나눠줌. 브리지를 보며 통신이 다리 한 쪽 에서만 일어나면 다리를 못 건너가게 하고, 통신이 다리를 통과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그 때만 다리를 건너게 해줌.
728x90반응형'S T U D 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_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 (0) 2021.02.07 15_ 브리지, 스위치의 기능 (0) 2021.02.07 13_ 콜리전 도메인 나누는 장비/스위치(switch)/ (0) 2021.02.06 12_ 네트워크 허브 고르기/허브의 한계/허브의 종류 (0) 2021.02.05 11_ 허브(HUB)란?/리피터의 개념 (0) 2021.02.05